안녕하세요 여러분 ~!
요즘 날씨가 참 덥죠? 더운 날씨 속에 우리를 더욱 화나게하는 초파리들...ㅜㅜ
오늘은 초파리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초파리는 이미 생긴 걸 잡는 것 보다 예방하고 초파리가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녀석들은 번식력이 너무 강해서 한번에 100개 이상의 알을 낳고 알에서 부화하기까지 14일 정도 밖에 걸리지 않는 다고하니 애초에 번식을 못하게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ㅎㅎ
자 그럼 어떻게 해야 초파리가 생기지 않을지 알아보도록해요.
1. 음식물 쓰레기와 초파리가 생길 만한 쓰레기는 따로 밀봉 보관하기
음식물 쓰레기와 초파리가 꼬일만한 쓰레기들은 따로 밀봉하여 보관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요즘은 위의 사진과 같은 밀폐 쓰레기통이 많이 나오더라구요.
저희집은 원래 누르면 뚜껑이 열리는 냄새는 어느정도 차단해주지만 완전 밀폐는 안되지 않는 쓰레기통을 사용하였는데
물티슈 같은 쓰레기를 버리다보니 안에 습기가 차면서 쓰레기통 내부가 초파리가 살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된 적이 있답니다 ㅠㅠ... 사실 저런 밀폐 쓰레기통은 가격도 있고 하다보니 그 정도 돈을 내고 사용하고 싶지는 않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댕댕이 쉬야패드, 물티슈, 여성용품, 달걀껍질, 닭뼈와 같이 초파리가 꼬이기 쉬운 쓰레기들은 비닐봉지에 따로 묶거나 밀봉해서 보관했다가 버려요ㅎㅎ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보통 그때그때 버려주는 것이 좋고 아니면 냉동실에 넣으시는 분들도 많은데
냉동실에 넣는게 저는 뭔가 찝찝한 기분이 들어서 굳이 냉동실에 넣지 않고 지퍼백 보관하다가 버렸는데
지퍼백만으로도 충분한 것 같았어요 ㅎㅎ
2. 배수구에 끓는 물 부어주기
이 방법이 제가 시도 해본 것 중 의외로 정말 효과가 크게 느껴졌던 방법입니다.
오래전 부터 누누히 들어온 방법이긴 했지만 사실 쓰레기 잘 버리면 딱히 생기겠나 싶었는데
한번 해보니 그래도 한두마리씩은 꼭 보였던 초파리들이 아예 사라졌어요!
쓰레기 보관이 제일 중요하지만 이 방법도 꼭 시도해보시길 바래요.
3. 쓰레기 사이사이에 락스에 적신 키친타올 깔아주기
초파리가 꼬일만한 쓰레기는 따로 보관 했는데도 불구하고 원인이 뭔진 모르지만 초파리가 꼬였다면 쓰레기 위에 키친타올을 깔고 살짝만 부어주세요! 물론 잠시동안 환기 해주는 것이 건강에 좋겠지요? 아이나 애완동물을 기르신다면 이 방법은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아요ㅜㅜ 하지만 초파리가 생길랑 말랑 할때는 효과적이랍니다.
4. 작은 종량제 봉투 사용, 재활용품은 잘 씻어서!
저는 여름 외에는 20리터 종량제를 사용하고 여름에는 10리터는 사용해요.
그때 그때 버려주면 초파리가 생길 확률이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이지만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5. 설거지 미루지 않기, 싱크대 위생
싱크대가 또 한 곳의 초파리 최애 공간이죠 ㅠㅠ...
설거지를 방치하시거나 항상 설거지 통에 물을 받아두신다면 여름 철만이라도 조금 피해보세요!
싱크대 거름망도 자주 비워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6. 습한 환경 만들기 않기
초파리는 달거나 신 냄새와 더불어 습한 환경을 매우 좋아해요.
커피나 음료, 물 등을 오래 받아두지 마시고 화장실과 세탁실 같이 쉽게 습해지는 곳은 환기를 자주 시켜서
너무 습하지 않게 해주세요!
7. 유입로 차단
보통 과일에 많이 붙어서 들어온다고 하죠? 그렇기 때문에 과일을 사오시면 잘 씻어서 냉장보관 해주세요!
또한 어디서 들어오는지 모르게 초파리가 자꾸만 보인다면 방충망에 구멍이 나있지는 않은지 확인해보시고
방충망 구멍이 넓은 편이라면 미세 방충망으로 교체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랍니다.
꼭 실천하셔서 초파리 없는 여름 보내시길 바래요 !
다음편은 이미 생겨버린 초파리를 퇴치하는 방법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순서! (0) | 2022.07.19 |
---|---|
초파리 퇴치 방법! 초파리 박멸 (초파리 트랩 만들기) (0) | 2022.07.17 |
정수기 렌탈 vs 구매 (광고X) 정수기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 2 (0) | 2022.07.12 |
정수기 렌탈 vs 구매 (광고X) 정수기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 1 (0) | 2022.07.11 |
산화제 3%? 6%? 9%? 12%? 차이는 무엇일까요? (0) | 2022.07.09 |